
'나만의 기준'으로 S&P500 ETF 실전 비교하기
안녕하십니까. '차근차근 재테크 스터디'의 InvestLog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저는 "수많은 ETF 중에 뭘 사야 할지 몰라서" 직접 '총 보수', 'AUM', '괴리율'이라는 3가지 '학습 기준'을 세웠습니다.
오늘은 그 기준을 가지고, 드디어 저의 투자 철학(<단 3개의 ETF로 은퇴하라>)의 '초석'이 될 'S&P500 ETF'에 실제로 투자한 '경험'과 그 '선택 과정'을 기록하려 합니다.
[학습 1] 'S&P500'은 왜 '투자의 초석'이라고 불릴까?
S&P500 ETF를 비교하기 전에, 제가 '왜'이 지수를 선택하게 되었는지 '학습한' 이유를 먼저 명확히 해야 했습니다.
제가 이해한 S&P500은 '미국 1등부터 500등 기업의 평균 주가'입니다. 제가 이 지수에 투자하기로 마음먹은 이유는, 제가 '애플'이나 '엔비디아' 같은 개별 기업의 미래를 맞출 '전문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 대신, 저는 '미국 시장 전체'의 장기적인 성장에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워런 버핏이 "S&P500에 투자하라"라고 한 말처럼, 이것이 저 같은 초보자에게 가장 '신뢰'할 수 있는 '투자의 초석'이라고 '학습'하고 '판단'했습니다.
[학습 2] '가장 유명한' 3 대장 비교 (SPY, VOO, IVV)
이제 S&P500을 사기로 마음먹고, 저는 제가 배운 '3가지 기준(보수, AUM, 괴리율)'을 적용해 보기로 했습니다.
솔직히 말해, 저는 어떤 ETF가 있는지 다 알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투자 유튜버나 블로거들이 가장 많이 언급하는, '가장 유명하고 규모가 큰' 3가지 ETF인 SPY, VOO, IVV부터 비교해 보았습니다.
- SPY (SPDR S&P 500 ETF): 가장 오래되고 AUM(규모)과 거래량이 1등입니다. 하지만 총보수가 0.09%로 다른 것보다 비쌌습니다. (기준 1 탈락)
- VOO (Vanguard S&P 500 ETF): AUM도 거대하고, 총 보수가 0.03%로 매우 저렴했습니다. (기준 1 통과)
- IVV (iShares Core S&P 500 ETF): VOO와 마찬가지로 총 보수가 0.03%로 저렴했습니다. (기준 1 통과)
이 비교 과정에서 '레버리지(2배, 3배)'나 '인버스' ETF들도 보았습니다. 하지만 이 상품들에 대해 '학습'해보니, 저의 '장기 은퇴' 투자 철학과 맞지 않아 비교 대상에서 완전히 제외했습니다. 예를 들어 2배 레버리지 상품은, 지수가 10% 하락하면 20%가 하락(-20%)하는데, 그 상태에서 다시 10%가 올라도 '원금'이 회복되지 않는 '변동성 함정(Decay)'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 '첫 번째 학습'만 놓고 보면, 저의 '3가지 기준'에 따라 총보수가 저렴한 VOO나 IVV를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이었습니다.
[나의 선택] '현실적인 장벽'과 SPLG(SPYM)라는 대안
VOO를 사기로 마음먹고, 저는 '직접 투자'를 하려다 '현실적인 문제'에 부딪혔습니다.
VOO 1주의 가격이 너무 비쌌습니다.
(2025년 11월 11일 현재 기준) VOO 1주를 사려면 약 626달러, 원화로는 약 90만 원이 넘는 돈이 필요했습니다. 제가 ISA 계좌에 100만 원을 입금해도, VOO 1주를 사고 나면 약 10만 원이라는 '자투리 돈'이 남게 됩니다. 또한 월급날마다 적립식으로 투자하기에도 1주의 가격이 너무 부담스러웠습니다.
그제야 저는 제가 처음에 '가장 유명한 3가지'만 비교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1주당 가격이 너무 비싸다는 '현실적인' 문제가 생기자, 저는 '적은 돈으로 S&P500 투자하는 법' 또는 '저가 S&P500 ETF' 등으로 다시 검색을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SPLG (SPDR Portfolio S&P 500 ETF)'라는 대안을 '발견'했습니다.
- SPLG의 장점: SPY와 같은 운용사가 만들었지만, 총보수가 0.02%로 VOO보다도 저렴했습니다. (기준 1 통과)
- SPLG의 결정적 장점: 1주당 가격이 약 80달러 내외(2025년 11월 기준)로 VOO의 약 1/8 수준이었습니다.
물론 지금은 '소수점 거래'가 가능해서 VOO도 만원 단위로 살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저는 '공부' 목적으로, 하루에 만 원씩 VOO를 소수점으로 사보며 SPLG와 비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주력'으로 모아갈 계좌, 특히 ISA 계좌에서는 1주 단위로 깔끔하게 매수할 수 있는 SPLG가 '자투리 돈' 관리나 적립식 투자에 압도적으로 유리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궁금증 해결] SPLG가 SPYM으로 이름이 바뀐 이유 (최신 학습)
그런데 최근 제 MTS(모바일 앱)를 보니 'SPLG'가 'SPYM'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어 있어 혼란스러웠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 변경 사항을 직접 확인해 보았습니다.
확인 결과, 2025년 10월 31일부로 운용사인 State Street(SSGA)가 SPDR 포트폴리오 ETF들의 브랜딩을 강화하기 위해 티커(종목코드)와 이름을 변경한 것이었습니다.
- 이전: SPLG (SPDR® Portfolio S&P 500® ETF)
- 현재: SPYM (State Street® SPDR® Portfolio S&P 500® ETF)
이름과 티커만 바뀌었을 뿐, 추종 지수(S&P500)나 총 보수(0.02%), 운용 방식 등은 전혀 변경되지 않았습니다. 즉, SPLG와 SPYM은 이름표만 바꾼 '동일한' ETF가 맞습니다. 저처럼 SPLG에 투자하시던 분들은 전혀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학습'했습니다.
결론: '나의 기준'으로 선택한 첫 번째 ETF (다음 글 예고)
오늘 'InvestLog' 학습 일지를 통해, 저는 'S&P500'이라는 이론을 '학습'하고, 'VOO'와 'SPLG'를 '비교'했으며, '자투리 돈'과 '소수점 공부'라는 저의 '현실적인 경험(E-E-A-T)'을 바탕으로 'SPLG(현 SPYM)'를 선택하는 '실행'까지 기록했습니다.
이것은 절대 '투자 추천'이 아니며, 'InvestLog'라는 초보자가 '학습'하고 '실행'한 '첫 번째 기록'입니다.
'투자의 초석'을 다졌으니, <단 3개의...> 책에서 말한 두 번째 ETF, '성장의 급행열차'가 궁금해졌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나스닥 100(QQQ)' 지수가 S&P500과 무엇이 다른지, 제가 '학습'한 내용을 기록해 보겠습니다.